각종정보모음

다이어트 식단

2019. 11. 9. 01:53

다이어트 식단

다이어트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우리 모두의 고민이죠. 다이어트와 공부는 내일 하는게 학계의 정설이지만 그렇다고 계속 미룰 수는 없는 노릇이에요. 그래서 저는 작은 것부터 하나하나 시작해보자는 마음에 다이어트 식단을 짜서 지켜보았어요. 


아직 남들이 뒤돌아 볼 만큼의 결과는 나오지 않았지만 다이어트 식단으로 바꾼 후 뭔가 피로감도 덜 들고 몸이 가벼워진 느낌이 들어 아주 상쾌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어요. 오늘은 다이어트 식단에 대해 함께 확인해 보시죠.



다이어트는 운동이 다인줄 알았지만 식단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더군요.




생각해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평소에 기름진 음식을 너무 자주 섭취하는 경향이 있는듯해요. 이런 서구화된 식습관은 체지방을 늘리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성인병이나 다른 건강에 적신호를 안겨주기도 해요. 건강도 되찾고 내장지방과 체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다이어트 식단은 어떤 것이 있을지 아래에서 확인해봐요.





다이어트 식단은 한 가지로 규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에요.



예전에 유행했던 원푸드 다이어트 식단의 경우 폭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금방 질리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오히려 요요를 불러일으키거나 영양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요. 그렇다면 영양도 지키고 체지방도 뺄 수 있는 다이어트 식단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 알아봐요.





식습관이 바뀌지 않는다면 다이어트에 성공했다고 하더라도 금방 요요현상으로 원래 몸무게로 돌아가게 되요.



많은 사람들이 아이돌 걸그룹의 다이어트 식단을 찾아보고 그 식단을 따라하지만 며칠 따라하지 못하고 금방 질리게 되요. 그 이유는 아이돌의 직업 특성상 몸매 관리로 수입을 올리고 있고 반대로 일반인들은 직장에서 회식이나 잦은 스트레스 피곤해진 육체 피로로 인해 금방 마음이 약해지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오래 지속할 수 있는 다이어트 식단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 확인해 보세요.





오랜기간 지속하는 다이어트 식단은 먼저 규칙적인 식사 시간을 지켜주는 것이 중요해요.



다이어트 식단을 지키고자 아침을 거르게되면 단순 계산적으로는 섭취하는 칼로리가 낮을지 몰라도 점심이나 저녁에 폭식을 하게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죠. 그러면 자연스레 섭취하는 칼로리가 높아져 살이 빠지기는 커녕 오히려 체지방이 늘게되요. 그래서 규칙적으로 아침 식사를 해주는 것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또한, 다이어트 중에는 기름진 음식을 최대한 피하고 기름진 음식을 섭취할 때에는 탄수화물 특히 쌀밥 종류는 평소 먹는 양의 절반 이하로 섭취하시면 큰 도움이 되요. 그 이유는 무엇인지 함께 확인해 봐요.





사람들은 지방을 많이 먹으면 살이 찐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살이 찌는 큰 이유중 하나는 바로 탄수화물 과다섭취에서 오게되요. 그렇기 때문에 평소에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하는 분들은 탄수화물 비중을 줄이고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여 준다면 살이 빠지는데 도움이 되요.


012345


그렇다고 탄수화물을 전혀 안먹을 경우 건강이 악화될 수 있으니 적당량의 탄수화물을 섭취하되 쌀밥보다는 현미밥 그리고 고구마나 바나나 등 쌀밥과 비교해서 살이 덜 찌는 건강한 탄수화물을 활용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데 도움이 되겠네요. 또 다른 다이어트 식단은 어떤 것이 있을지 마지막으로 확인해 볼게요.




바로 물이 다이어트 식단에서 빠져서는 안될 소중한 자원이에요. 물을 많이 마셔주면 포만감을 유지할 뿐만아니라 기초 대사량이 증가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노폐물 배출에도 도움이 되어 건강에도 좋아요.


0123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은 사실 힘든 일이지만 의식적으로라도 물을 조금씩 자주 마셔준다면 건강한 다이어트에 성공할 수 있을거에요. 다이어트 식단은 어떤 것이 정답이다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건강한 식단을 구성해서 건강과 다이어트 모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 도시락 추천  (0) 2019.11.12
수능 시계 규정 안내  (0) 2019.11.10
봉와직염 증상, 원인  (0) 2019.11.08
외이도염 증상  (0) 2019.11.07
일본뇌염 예방접종 시기, 증상  (0) 2019.11.05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